High 우크기타 소개 High 우크기타 소개 "High-우크기타"는 무슨 악기입니까? 필자가 이 블로그에 소개한 우크기타를 다시 4줄의 음을 모두 높여서 연주할 수 있게 한 악기로서 "하이-우크기타(High Ukguitar)라고 명명하겠습니다. 먼저 제 블로그에 "우크기타"로 소개했던 악기를 "로우-우크기타"(Low Ukguitar)로 다시 .. 우크기타/따라하기 2017.06.18
(우크기타) 따라하기 - 우크기타 코드표 (우크기타) 따라하기 - 우크기타 코드표 같은 계열의 코드들의 모양은 비슷하다. 아래는 장/단조별 주요 3화음 코드표 (아래) 우크기타/따라하기 2015.06.08
(우크기타) 따라하기 - 스트로크 주법 몇가지 종류 (우크기타) 따라하기 - 스트로크 주법 몇가지 종류 1. 왈츠 - 3/4, 6/8박자의 곡 2. 고고 - 4박자의 빠르고 경쾌한 곡 3. 슬로우 고고 4. 칼립소 - 4박자의 빠르고 경쾌한 5. 슬로우록 - 한 박을 셋으로 나눈 12비트의 리듬 패턴입니다 6. 셔풀 - 부점이 붙은 경쾌한 바운스 리듬 패턴입니다. 8. 컨트리.. 우크기타/따라하기 2014.10.16
(우크기타) 따라하기 - 아르페지오 주법(2) (우크기타) 따라하기 - 아르페지오 주법(2) 리듬(박자)에 따른 아르페지오 주법은 다양하다. 아래는 기본적인 형태이고, 변형된 더 다양한 주법이 많다. 아래의 패턴을 눈감고 정확하게 튕길 수 있도록 반복해서 연습합니다. 우크기타/따라하기 2014.09.29
(우크기타) 따라하기 - G장조의 음계와 코드 (우크기타) 따라하기 - G장조의 음계와 코드 - 우크기타는 "G장조 악기"라고 할 정도로 G장조 연주의 멜로디나 코드 반주 연주가 쉽다. G장조 음계 절대음의 이름으로 G-A-B-C-D-E-F#-G 이나 계명으로는 "도레미파솔라시도" 로 모든 장조의 음계의 계명은 동일하다. G장조에서는 피아노나 어코디.. 우크기타/따라하기 2014.09.24
(우크기타) 따라하기 - 가단조(Am)의 음계와 코드 (우크기타) 따라하기 - 가단조(Am)의 음계와 코드 오선지에 샵(#)이나 프렛(b)이 없는 노래는 다(C)장조 아니면 가(A)단조의 노래이다. 장조노래는 1도화음인 도,미,솔 중 어느 하나의 음으로 시작해서, 대부분 1도화음의 으뜸음인 "도"로 끝나는 노래 단조노래는 1도화음인 라,도,미 중 어느 하.. 우크기타/따라하기 2014.09.23
(우크기타) 따라하기 - 아르페지오 주법(1) (우크기타) 따라하기 - 아르페지오 주법(1) 일반적으로 우크기타에서 오른손의 역할은 멜로디를 튕기거나, 반주를 넣어주는 것이다. (1) 아르페지오 주법 ... 손가락으로 4개의 줄을 각각 이어서 튕기는 주법 (2) 스트로크 주법 ... 4개의 줄을 동시에 튕기는 주법, 크게 3박자/4박지 리듬이 있.. 우크기타/따라하기 2014.09.21
(우크기타) 따라하기 - 쉬운노래 + 쉬운코드 + 쉬운반주 (우크기타) 따라하기 - 쉬운노래 + 쉬운코드 + 쉬운반주 1. 쉬운 노래 아래 노래는 초등학교 시절에 모두들 배웠던 노래이고, 악보만 봐도 바로 "시창"할 수 있는 쉬운 노래이다. 위 악보에서 알 수 있는 것은 1. 샵(#)이나 프렛(b)이 없는 다장조(C장조) 노래이고 2. 3/4 박자 노래이다. 3. 각 마.. 우크기타/따라하기 2014.09.12
(우크기타) 따라하기 - C장조의 음계와 코드 (우크기타) 따라하기 - C장조의 음계와 코드 C장조에서 7음계를 기준으로 7개의 화음을 만들 수 있다. 그런데 7번째 화음인 7도화음(Bdim)은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이들중 주요 3화음은 1도(C), 4도(F), 5도(G)화음이다. 2도(Dm), 3도(Em), 6도(Am)화음은 주로 단조느낌이 나는 마디에서 가끔 사용되기.. 우크기타/따라하기 2014.09.12
(우크기타) 따라하기 - 화성학(자습) (우크기타) 따라하기 - 화성학 화성학은 화음악기에 매우 중요한 이론입니다. 피아노, 기타(우크기타, 우쿨렐레 등) 연주시 알아두면 실력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처음에는 어렵더라도 반복해서 읽어보고 실습해보면 이해가 될 것입니다. 기타나 우크기타에서 코드(chord)를 무조건 외우.. 우크기타/따라하기 2014.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