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길임도 걷기/등산정보 40

등산용 스틱 선택: T-자형 스틱의 장점 (나의생각)

과거 10년전까지만 해도 등산용 T자형 스틱을 쉽게 구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등산용 T자형 스틱을 구하기가 어렵다. 최근 일부 회사에서 제품이 새로 나오긴 하였다. 인터넷 서핑을 하다보면 등산 스틱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T-자보다는 I-자형 스틱이 좋다고 많이 말하고 있지만, 왜 그런지에 대해서는 설득력있는 이유나 근거가 부족한 것 같다. 필자는 이에 반해 T-자형 스틱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사용자에 따라 견해을 달리 할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그동안 긴(오랜 시간의) 산행과 다양한 형태의 산행을 해 본 경험을 바탕으로 필자는 T-자형 스틱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나름대로 생각해본 T자형 스틱의 장점들을 나열해 보면 1. 무릎관절에 하중을 많이 줄일 수 있다. T-자형 스틱은 주로 어깨..

전망 Scale: 전망 상태(시야,시계) 표기에 대한 나의 생각 : V1 ~V5

전망의 정도(시계) Scale - 필자의 생각 V0 - 시계 제로 (예) 안개,구름속, 랜턴이 없는 밤길 ------------------------------------------------------------------------------------------------- V1 - 아주 나쁨: 옅은 운무속 이거나 비가 올 경우의 시계 V2 - 조금 나쁨: 먼산이 보이지 않는 상태. 미세먼지(PM10)예보가 나쁨 수준일때 해당되지 않을까? V3 - 보통 : 먼산이 희미하게 보이는 상태, 미세먼지 예보가 보통일때 V4 - 꽤 좋음: 먼산이 잘 보이는 상태, 미세먼지 예보 좋음일때 V5 - 매우 좋음: 평소 보이지 않던 머나먼 산이 뚜렷하게 보이는 상태 (예)지리산에서 덕유산이 보이는 경우 보통 가을철..

산길 Scale: 산길의 상태 표기에 대한 나의 생각 : G1~G5

산길의 상태 표기에 대한 나의 생각 - 산길상태 Scale 산길의 상태에 대한 보다 객관적 표현을 생각해 보았다. 명확하게 구분하기가 어렵지만 대략적인 스케일이 있다면 "산행전 준비"와 "안전산행"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이다. 앞으로 산행기에 이러한 대략적 산길의 상태를 스케일로 표기해 준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 부분에 있어서 이견이 있으면 댓글주세요...^^ ------------------------------------------------------------------------------------------------------ * G0 - 산길 임도로 차량도 통과가 가능한 길. ------------------------------------------------..

문장대.온천지구와 괴산/상주간 갈등 문제를 이해할려면...

문장대.온천지구와 괴산/상주간 갈등 문제를 이해할려면... 충북의 백두대간은 민주지산.삼도봉에서 소백산.선달산까지이다. 대부분 백두대간을 경계로 충북과 경북이 경계선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 백두대간에서 경북지역의 경계선이 대간의 서쪽으로 들어와 있는 곳은 4곳이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