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도구 12

의학평가 도구 - 기능의학 불균형 평가 SW

7가지 기능의학적 불균형 1. 동화: Assimilation 2. 에너지: Energy 3. 소통: Communication 4. 방어: Defense & Repair 5. 해독: Biotransformation & Elimination 6. 수송: Tansport 7. 구조: Structural integrity * 상기 6.번의 수송(Transport) 대신에 Mind-body-spirit 가 들어가기도 한다. 1.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 2. 에너지 불균형과 사립체 병변 3. 해독과 생체변환 4. 면역과 염증 5. 소화, 흡수, 미생물 6. 세포막, 근골격계 7. 마음-신체-영성(Mind-body-spirit) 초기 평가 아래 평가지 문항은 제프리 블랜드의 책(번역본: 질병은 없다)에서 발췌한 것이다..

생활습관 의학 평가도구 모음 SW

만성질환을 치료하는 분야에서 생활습관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는 누구나 공감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실제 진료현장에서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적용에 필요한 의학적 근거자료를 활용하고, 또 여러가지 기술(IT, 인공지능, CBT, 지식처방전 등)들을 이용하면 어렵지 않게 접근해 볼 수 있다. 진료전에 환자의 생활습관에 관한 기본적인 평가들을 체크하고 요약해 본다면 효율적인 진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가. 평가도구 모음집 SW 위 화면에서 [생활습관 평가]버튼으로 실행한다. 자세한 설명은 참고자료 1)에서 살펴볼 수 있다. 참고자료 1)에서 모음집을 다운 받을 수 있고, 2)에서 관련 도구파일들 57개(*.app)을 다운 받을 수 있다. 나. 생활습관 평가도구 모음 SW 생활습관 중재시 필요한 도구들을..

완화의료 평가도구 모음 SW

호스피스 완화의료 병동에서 흔히 사용하는 도구들을 모아본 프로그램입니다. 가. 평가도구 모음집 SW 위 화면에서 [완화의학 평가]버튼으로 실행한다. 자세한 설명은 참고자료 1)에서 살펴볼 수 있다. 참고자료 1)에서 모음집을 다운 받을 수 있고, 2)에서 도구파일들 57개(*.app)을 다운 받을 수 있다. 나. 완화의료 평가도구 모음 SW 완화의료 병동에서 흔히 사용되는 도구들을 모아 놓은 프로그램이다. 아래 다)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참고자료 3)에서 살펴볼 수 있다. 다. 프로그램 업로드 상기 파일(hpscale.zip)을 다운 받아 \ca\scale 폴더에 압축을 풀어 복사하면 된다. ( "scale"폴더가 없으면 \ca폴더 아래에서 "scale"폴더를 생성한 후 복사하면 된다...

기능의학 평가도구 모음 SW

기능의학 병원에서 초진 환자 진료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진료전 확인사항들(불편증상, 소견, 과거력, 약복용력 등)을 체크해두면 효율적인 진료에 도움이 된다. 가. 평가도구 모음집 SW 위 화면에서 [기능의학 평가]버튼으로 실행한다. 자세한 설명은 참고자료 1)에서 살펴볼 수 있다. 참고자료 1)에서 모음집을 다운 받을 수 있고, 2)에서 도구파일들 57개(*.app)을 다운 받을 수 있다. 나. 기능의학 평가도구 모음 SW 기능의학 진료시에 필요한 도구들을 모아 놓은 프로그램이다. 아래 다)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참고자료 3)에서 살펴볼 수 있다. 다. 프로그램 업로드 상기 파일(fm_scale.zip)을 다운 받아 \ca\scale 폴더에 압축을 풀어 복사하면 된다. (fm_sca..

의학 평가도구 - 간이 스트레스 평가(BEPSI-K)

A. 평가도구 개요 BEPSI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의 한국어판(1)으로 외래에서 간단히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스트레스 평가척도로 총 5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의 점수를 합하여 평균을 구한다. 신뢰도는 0.68 이다. 간단하기 때문에 일차 진료영역에서 특히 외래에서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타당도 검증이 더 필요하고 연구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평가된다.(2) 문항수 = 5개, 스케일 = 5개, 영역분류(-)는 없고, 가중치(-)도 없다. 점수계산: 점수가 높을 수록 스트레스가 높다. 그래서 모두 역문항(all+)이다. (각 문항별 5점 x 5문항 )/5 로 계산하며, 점수의 범위는 1~5점이다. 절단점: 체크된 ..

문항척도 SW - 20개 문항 이하의 (의학)평가도구들

의학 평가도구의 활용은 1) 연구 뿐만 아니라, 2) 진료 영역에서도 많은 도움이 된다. 그리고 평가도구는 상황에 따라서 변화가 필요하고 새로운 평가도구를 개발할 필요도 있다. 다양한 평가도구를 사용할 때마다 프로그래머의 도움이 필요없이 적용할 수 있는 SW를 소개하고, 그것들을 적용할 때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부분을 이야기 하겠습니다. 의학 평가도구들의 대부분은 20개 이내로 되어 있고, 문항수, 스케일, 영역여부, 가중치, 역문항, 절단점 등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평가도구의 총 점수/영역별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5가지 이다. 1) 문항수 2) 스케일수 3) 가중치 4) 역문항 5) 영역분류 6) 판정식 - 평가도구 결과 판정에 필요한 절단점(cut-off value) 등이 있거나 없..

생활습관의학 평가2 - LMA

LMA = LifeStyle Medicine Assessment 질문수 = 21개 영역(Domain)분류= 5개: 연결, 운동, 약물사용, 회복, 영양 라이커트수= 2~11개 혼합형 역문항(+): 있다. 질문배치 = random 절단점(cut-off value)은 없다. *해석 = 체크값에 대한 가중치 혹은 판정식(알고리즘)이 있다. (꽤 복잡하여 컴퓨터의 도움을 받아야 임상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가. LMA 적용 각 질문당 점수만 단순 계산하면 총점=120점. 나. 중간 해석 노란 바탕의 질문에 체크를 하면 흰색(재해석)화면의 체크란에 자동으로 기입된다. 재해석 평가의 총점은 50점이고 각 영역당 10점으로 계산된다. *또하나의 변수=성별(남,여)에 따라 재해석 계산값이 달라질 수 있다. 다. ..

생활습관의학 평가-1: Paving Wheel (12분류,60문항)

PAVING STEPSS PAVING - 6개 영역 P - physical activity 신체활동 A - Attitude 태도 V - Variety 다양성 I - Investigation 탐구 N - Nutrition 영양 G - Goal 목표 STEPSS - 6개 영역 S - Stress mx 스트레스 관리 T - time-out 휴식 E - Energy appraisal 에너지 점검 P - Purpose identification 목적파악 S - Sleep 수면 S - Social support 사회적 지지 가. 문항수60개, 척도수 5개의 설문평가 프로그램 SW (PC용) 필자가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SW를 이용하여 적용해 볼 수 있어서 Paving Wheel 평가를 적용해 보고자 한다. - 아..

호스피스.완화의료 평가도구 모음

A.호스피스.완화의학에서의 다용하는 평가도구들... 관련 논문을 참고하여 컴퓨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 (1)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2권 제4호 2009,177-193 (2) 완화의료학회지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9 June;22(2):67-76 1. 수행상태 및 예후 평가: https://best1dr.tistory.com/7495526 - PS 수행상태(Performance Status) - 3종류: ECOG, KPS, PPS - OPS: ECOG + 5가지: 예후지수(OPS) Objective Prognostic Score - Pap: KPS + 5가지: 예후지수(PPS) Palliative prognostic score - PPI: PPS + 4가지: 예..

통합 암치료 지지 시스템 운영시 필요한 평가도구들

통합 암치료 지지시스템 운영을 위한 평가도구들 1.설문평가 도구들 - 주관적 평가 2.각종 검사들 - 객관적 평가 체성분 검사: 인바디(InBody) BIA-450: 위상각(Phase angle), 도체에너지(BC) HRV(심박변이도 검사) HTMA(모발 미네랄 검사) Blood Exam(혈액검사) 통증검사(PainVision): 통증정도(PD), 역치(CPT) 암환자 평가도구 모음 프로그램 0.기본평가/주기: 암환자 평가 1.신체계측: 신체계측으로 알수 있는 정보 2.증상,병력,약물: 증상,소견,병력,약물 3.사상체질 KS-15*: 사상체질 평가도구(K-15) 5.선별검사 Sx/LASA*: 암 입원환자 선별검사(LASA,MDASI) 7.생활패턴 LS*: 생활패턴(Life Style) 평가 8.삶의질 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