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건강/의학 평가도구 88

경락과 경혈점 SW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KMCRIC) 정보를 참고하여 DB 프로그램을 작성15개의 경락과 400 여개의 경혈점에 대한 DB - https://www.kmcric.com/database/acupoint상기 파일의 맨 첫번째 자료(레코드.1번)에서 파일이 있는 폴더를 [출처란]에 명기해두고그 폴더에 JPG 파일 형태로 저장해 두면 각각의 경혈점에 대한 내용을 그림으로 연결시켜 볼 수 있다. 경락 분류  인덱스경혈점에 대한 상세 도해자료 ; 위와 같이 이미지 파일을 연결해 두면 바로 참고할 수 있다.   침의 효능에 대한 한의상병과 연결해 두기  경혈점과 비교적 일치하는 TPI 관련 근육 참고 하기- 아직 자료 구축은 되어 있지 않고 기존의 구축된 자료를 찾아서 채워넣을 예정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로 들어가면 ..

의학 평가도구 - (국제)하지불안증후군 척도(IRLS-K)

가. (국제)하지불안증후군 척도 하지불안증상은 수면의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 수면의질 평가 도구인 PSQI에서 "하지불안증상"에 대한 체크사항이 있다.  나. 하지불안증후군 척도 DB 관리하기 - 필자가 만들어 사용하고 있는 질문갯수 20개이하의 설문평가 Tool을 이용하여 A. 파일생성연구를 등록하고 파일을 생성 B. 평가도구의 설계 1.설문 평가도구 구조에 대한 특성... 1) 문항수  : 10  (No. of Questionaire) 2) 스케일수:  5 3) 영역수  :  2  (No. of Domains)      - 하지불안 증상에 대한 (1)특성(정도)과 그 증상에 의한 (2)영향 등을 구분해 볼 수 있다.4) 가중치  : - 없다 5) 역문항  : - 없다 6) 절단점  : + 있다..

의학평가 도구 - 기능의학 불균형 평가 SW

7가지 기능의학적 불균형 1. 동화: Assimilation 2. 에너지: Energy 3. 소통: Communication 4. 방어: Defense & Repair 5. 해독: Biotransformation & Elimination 6. 수송: Tansport 7. 구조: Structural integrity * 상기 6.번의 수송(Transport) 대신에 Mind-body-spirit 가 들어가기도 한다. 1.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 2. 에너지 불균형과 사립체 병변 3. 해독과 생체변환 4. 면역과 염증 5. 소화, 흡수, 미생물 6. 세포막, 근골격계 7. 마음-신체-영성(Mind-body-spirit) 초기 평가 아래 평가지 문항은 제프리 블랜드의 책(번역본: 질병은 없다)에서 발췌한 것이다..

평가도구 - CINP(항암제 신경병증)

CINP = Chemotherapy Induced Neuropathy 발생기전: 항암제의 세포독성으로 인해 말초신경의 염증으로 야기되는 여러가지 형태의 증상을 유발한다. 항암제의 산화스트레스와 염증반응으로 신경막의 손상이 유발되기 때문이다. 주로 말초 신경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서 * CIPN 이라고도 한다. (Chemotherapy 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뱔현시기 및 경과 1) 초반에 나타날 수 있고, 항암 주기 싸이클을 반복하면서 누적 용량이 축적되면 심해짐 2) 수주가 지나서 천천히 지연성 나타나기도 함 3) 일시적이지만 완전히 사라지는데 몇 개월~ 몇 년 걸릴 수 있다 유발 항암제 1) 백금계 - 시스플라틴/카보플라틴/옥살리플라틴 2) 빈카 알칼로이드 - 빈크리스틴..

생활습관 의학 평가도구 모음 SW

만성질환을 치료하는 분야에서 생활습관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는 누구나 공감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실제 진료현장에서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적용에 필요한 의학적 근거자료를 활용하고, 또 여러가지 기술(IT, 인공지능, CBT, 지식처방전 등)들을 이용하면 어렵지 않게 접근해 볼 수 있다. 진료전에 환자의 생활습관에 관한 기본적인 평가들을 체크하고 요약해 본다면 효율적인 진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가. 평가도구 모음집 SW 위 화면에서 [생활습관 평가]버튼으로 실행한다. 자세한 설명은 참고자료 1)에서 살펴볼 수 있다. 참고자료 1)에서 모음집을 다운 받을 수 있고, 2)에서 관련 도구파일들 57개(*.app)을 다운 받을 수 있다. 나. 생활습관 평가도구 모음 SW 생활습관 중재시 필요한 도구들을..

완화의료 평가도구 모음 SW

호스피스 완화의료 병동에서 흔히 사용하는 도구들을 모아본 프로그램입니다. 가. 평가도구 모음집 SW 위 화면에서 [완화의학 평가]버튼으로 실행한다. 자세한 설명은 참고자료 1)에서 살펴볼 수 있다. 참고자료 1)에서 모음집을 다운 받을 수 있고, 2)에서 도구파일들 57개(*.app)을 다운 받을 수 있다. 나. 완화의료 평가도구 모음 SW 완화의료 병동에서 흔히 사용되는 도구들을 모아 놓은 프로그램이다. 아래 다)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참고자료 3)에서 살펴볼 수 있다. 다. 프로그램 업로드 상기 파일(hpscale.zip)을 다운 받아 \ca\scale 폴더에 압축을 풀어 복사하면 된다. ( "scale"폴더가 없으면 \ca폴더 아래에서 "scale"폴더를 생성한 후 복사하면 된다...

기능의학 평가도구 모음 SW

기능의학 병원에서 초진 환자 진료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진료전 확인사항들(불편증상, 소견, 과거력, 약복용력 등)을 체크해두면 효율적인 진료에 도움이 된다. 가. 평가도구 모음집 SW 위 화면에서 [기능의학 평가]버튼으로 실행한다. 자세한 설명은 참고자료 1)에서 살펴볼 수 있다. 참고자료 1)에서 모음집을 다운 받을 수 있고, 2)에서 도구파일들 57개(*.app)을 다운 받을 수 있다. 나. 기능의학 평가도구 모음 SW 기능의학 진료시에 필요한 도구들을 모아 놓은 프로그램이다. 아래 다)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참고자료 3)에서 살펴볼 수 있다. 다. 프로그램 업로드 상기 파일(fm_scale.zip)을 다운 받아 \ca\scale 폴더에 압축을 풀어 복사하면 된다. (fm_sca..

의학 평가도구들 - 실행파일 SW (*.App, 57개)

본 블로그에서 소개했고 또 앞으로 소개할 의학 평가도구 SW를 먼저 한꺼번에 공개하고자 합니다. 평가도구들에 대한 내용과 이를 실행할 수 있는 SW를 연결해주는 프로그램은 아래 참고자료 1)을 참고하면 됩니다. 가. 의학 평가도구 모음집 [평가도구]를 실행하면 위의 화면으로 실행되는데 실행하고자 하는 평가도구를 찾아서 [도구실행]을 누르면 된다. 다른 방법으로 [인덱스]를 선택한 후 아래의 화면에서 [도구실행]을 선택하면 된다. 나. 실행파일 리스트 위 첫 화면에서 [평가도구]를 누르면 my_tool 폴더의 *app 파일들이 모두 리스트 된다. 위의 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DB) 기능이 없다. 자료를 구축하고 통계를 활용할려면 "문항척도 SW"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 파일 업로드 위의 압축파일 t..

의학 평가도구: HEI-K (한국 일반인 건강 식이지표)

HEI = Health Eating Index 위의 평가도구는 국가 검진시 시행되는 식이평가 지표(HEI)이다. * 위 프로그램(SW): ls_hei.app (아래 참고자료 사이트 업로드) 가. 파일 생성 나. 파일 설계 평가도구의 구조 1) 문항수 : 11 (No. of Questionaire) 2) 스케일수: 3 (No. of Likert Scales) 3) 영역수 : 3 (No. of Domains) 4) 가중치 : +/- 없다 5) 역문항 : + 있다 (순문항-우상향,역문항-좌상향) 6) 절단점 : + 있다 (cut-off value) 7) 질문배치: Random (Random or Group) 8) 결과물 : by PRO (PRO=Patient reported outcome) 평가항목을 11개로..

의학 평가도구: HEI-Ca 암환자 건강 식이평가

HEI-Ca = Health Eating Index for Cancer patients 암 환자의 치료 과정에 있어서 식습관 개선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또한 암 환자분들은 "무엇을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매우 관심이 많은 것 같다. 좀 총론적인 내용이기는 하지만 암을 예방하고 치료과정을 잘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식이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평가도구이기도 하다. * 위 프로그램(SW): ca_hei.app (아래 참고자료 사이트 업로드) 가. 파일 생성 나. 파일 설계 평가도구의 구조 1) 문항수 : 20 (No. of Questionaire) 2) 스케일수: 3 (No. of Likert Scales) 3) 영역수 : 4 (No. of Domains) - 필자는 4개로 분류해서 평가하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