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속리산과 둘레길 25

속리산 둘레길-9 백두대간 넘는 길(괴산->문경)

2024.12 백두대간 이음길괴산 연풍에서 백두대간.백화산(1063m) 산줄기를 넘어 문경/마성면으로 가는 길. 백화산 능선 데크에서 보는 전망이 좋다. 속리산 둘레길중 가장 높은 고개(평전치)를 넘어야 하는 험난한 코스이기도 하다.  1(연풍) - 1a(분지리 마을회관) - 1b(분지제) - 1c(분지리 끝마을, 3~4대 주차가능) - 2(임도끝) - 3(평전치) - 3a(봉우리) - 가파른 능선길 하산 - 3b - 4(만덕사) - 용주사 - 5(계곡 갈림길 임도 3거리) - 5a(상내1리 마을회관) - 6 - 7(도탄고개) - 8(석탄박물관) - 아자개 장터* 1c-2.구간: 산길임도 Mrs2~3.5   2~3.구간: 원래 임도로 표기되어 있지만, 기능을 못하는 임도로, 그냥 넓은 등산로로 생각하면 ..

속리산 둘레길-4 (보은/대원리, 괴산/신월리)

속리산 둘레길-4 (금단산 신선길 8.9km)속리산.문장대에서 북서쪽 능선(관음봉, 묘봉, 상학봉, 미남봉, 활목재)과 금단산, 신선봉, 주봉, 싸리재, 옥화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는 달천을 크게 서쪽으로 돌아가게 한다. 금단산 지역은 상주, 괴산, 보은, 청주시의 구역이 포함되어 있다.  산행(걷기): 1(대원리,마을회관) - 1a(임도) - 2 - 3(금단산 고개) - 3a - 4(임도3거리) - 5(신월리 마을회관) A.봉 - 괴산/청천, 상주/화북, 보은/산외면의 경계이다신선봉은 청주/미원, 괴산/청천, 보은/산외면의 경계이다. 둘레길-4구간은 보은에서 괴산으로 넘어가는 산길(임도)이다.임도상태: Mrs2~3, 숲길그늘=70%, 숲길이 좋아 전망이 그렇게 좋지 않다.주변전망: 속리산 암릉, 낙영산,..

속리산 둘레길 개요

가. 개요 속리산 국립공원은 백두대간을 따라 꽤 넓은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4개의 도시(보은, 괴산, 문경, 상주)에 포함되어 있다. 속리산 천왕봉은 삼파수(한강,낙동강, 금강)가 시작하는 곳이기도하다. 공원 주변을 걷는 길이 연결되어 속리산 둘레길로 불리게 되었고 최근 국가 숲길로 지정되었다. 2024년 3월 최종 둘레길이 완성되었다. 아직은 미흡한 부분도 있지만 더 광활한 지리산 둘레길과는 또 다른 느낌을 받게 하는 길이라 생각된다. 속리산 둘레길: 15구간. 209km지리산 둘레길: 21구간. 285km 지형을 알고 걸으면 그 곳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더 흥미로운 여행이 될 것입니다.주요 산줄기: 백두대간, 한남금북정맥, 작약지맥, 팔음지맥주요 하천: 3파수, 달천강, 영강, ..

속리산 둘레길-10 (문경시 가은읍) 양산천따라 걷는 길

2024.11 문경시 양산천변길문경시 가은읍의 양산천따라 걷는 길이다. 양산천의 수계는 옥녀봉(가은), 둔덕산, 대야산, 장성봉, 악휘봉, 구왕봉, 희양산, 이만봉, 뇌정산 등의 산줄기로 둘러져 있다. 꽤 큰 천이고 영강으로 흘러든다. 천따라 난 도로를 타고 올라가면 백두대간 버리미기재를 넘어 괴산(청천, 칠성)으로 넘어간다.  거꾸로 이동(자전거): 1(죽문리,버스종점) - 1a - 2 - 농로 -  3 - 천변둑방길 - 3a - 4 - 5(석탄박물관) - 아자개 장터(구경/식사)* 도탄고개 너머 상내리 마을회관(6a)까지는 가지 않음.* 가은읍 아자개 장터는 볼거리/먹거리가 있어 머물다 가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죽문리 버스종점  멀리 백두대간 구왕봉  희양산과 백두대간  하괴리 양산천변길..

속리산 둘레길-7(괴산 칠성) 선유대~산막이 옛길~자연드림파크~쌍곡3거리

2024.11 산막이 옛길(16.8km)선유대에서 괴산호 호반길(충청도 양반길)을 지나 연하협 구름다리를 거쳐 산막이 옛길을 경유한다. 군자산 자락에 자리잡은 괴산 자연드림파크를 거쳐 쌍곡3거리까지 걷는다. 괴산호반길과 군자산 자락에서 보는 전망이 좋다.  걷기: 7a(운교리 마을회관) - 7b(선유대) - 7c(출렁다리) - 7d(연하협 구름다리) - 7e(산막이) - 7f(소나무동산) - 7g(수천교) - 7h(원효사) - 7i(자연드림파크) - 7j(미선나무 군락지) - 7k(고개) - 7m(쌍곡3거리) 주변 전망: 아가봉, 군자산, 비학산, 등잔봉-남산 능선, 성불산, 박달산 등 *자전거로 이동할 경우: 덕평리 - 산막이 임도(A) - 구름다리 - 7r - 7h - 자연드림파크 - 미선나무 군락지..

속리산 둘레길-14(상주 화서) 백두대간.봉황산 자락 너머

2024.11   상주길 14구간 백두대간.형제봉 동쪽 청계산 암릉(대궐터산)을 보면서 이안천의 상류(하송리)를 지난다. 봉황산 자락(선재)을 넘어 백두대간길을 걷다가 화서로 간다. 선재에서 보는 남쪽 전망은 시원하다. 좌측으로 갑장산, 우측으로 백화산, 그리고 낮게 이어지는 상주.백두대간을 그려볼 수 있다.  산행(걷기): 14a(청계산 고개) - 청계사(14b) - 14d - 14e(선재 데크 전망대) - 14f(백두대간) - 14g(상현리 반송) - 14h(화서면) 청계산 고개(14a)  청계산 임도(숲길)  완만하게 내려가는 숲길이 좋다.  청계사  가을풍경  하송리 이안천 건너 선재/백두대간 넘기전 전망. 청계산 암릉/대궐터산  선재 데크 전망1  전망2  봉황산 자락 백두대간길  상현리 반송과..

속리산 둘레길-13 (상주 화북면) 화북 우복동과 청계산 고개

2024.11  상주길 13구간영강의 발원지인 화북 우복동 일대를 걷다 청계산 고개(작약지맥의 고개)를 너머 청계사/하송리로 넘어간다. 속리산(천왕봉~문장대), 청화산, 도장산, 형제봉 등 두루두루 멋진 암릉산을 볼 수 있고, 청계산 고개에서 보는 전망은 진정 속리산 둘레길을 걷는 느낌을 갖게 해 준다.  13b(원적사 입구) - 13c(시비공원) - 13d(화북면 소재지 공원) - 13e(솔숲/장각계곡 입구) - 13f(서재) - 13g(청계산 임도) - 13h(고개/작약지맥)  청화산, 시루봉, 원적사 입구, 거꾸로 옛이야기나라숲  영강/쌍용계곡(영유교)  시비공원  화북면 공원길1  화북면 공원길2  문장대 오토캠필장 입구에서 서재로 오르기전  서재  서재에서 능선따라 오르면 청계산 임도에 접어들고..

속리산 둘레길-11(문경시 가은, 농암) 둔덕산과 연엽산 산마루길

2024.11.20  문경길 11구간(13.1km)가은읍 죽문리에서 둔덕산 남동쪽 산마루 임도를 넘어 농암 연천리로 접어든다. 종곡리 들판에서 보는 백두대간과 둔덕산은 장쾌하다. 둘레길은 농암면 소재지를 거치지 않고 연엽산 낮은 산마루 길(마을길)을 지나 화산리로 접어든다. 둔덕산 임도: Mrs2-3 산행(걷기): 11a(죽문리) - 11b(고개) - 11c - 11d(연천리) - 11e(종곡리) - 11f(낮은 고개) - 11g(화산리)  가은읍 죽문리  임도 주변이 벌목지대라 전망이 좋다  고개(11b)  연천리쪽 임도   둔덕산 임도를 뒤돌아 보면서(연천리)  종곡리에서 보는 둔덕산  연엽산 낮은 산마루 고개(11f.지점)  화산리 가을, 연엽산  화산리에서 보는 시루봉

속리산 둘레길-12(문경시, 농암면) 시루봉 보면서 비치재 넘는 길

2024.11.22  문경길 12구간 6.2km12~13.구간: 문경 농암에서 상주 화북으로 넘어가는 길. 원적사 입구 작은 계곡을 경계로 상주와 문경이 구분된다.  도장산과 청화산 사이 쌍용계곡은 경치가 볼만하다.  협곡으로 난 도로(걷기에는 위험)를 피해서 둘레길은 시루봉쪽 비치재를 넘는 길로 정한 것 같다. 쌍용계곡 길 맞은 편  절벽 옆으로 걷는 길을 만들고 있는 것(용유9곡길?) 같다. 이 길이 온전히 완성되면 힘들게 비치재를 넘지 않고 계곡따라 걸어도 될 것 같다.(아래 지도 참고)  산행(걷기): 12a(화산리) ~ 마을길 - 12b(화산리 반송) ~ 등산로 ~ 12c(비치재) - 등산로 ~ 임도 ~ 12d(원적사 입구)* 반송에서 비치재 가는 등산로는 산허리를 타고 오르는 완만한 길이다. ..

속리산 둘레길-8(괴산 연풍) 백두대간 보면서 쌍천따라 걷는 길

2024.11.15  괴산 안빈낙도길(16.7km)쌍천의 북쪽은 신선지맥(성불산, 박달산, 마등봉, 신선봉, 마역봉)이 남쪽은 백두대간이 지난다. 쌍곡계곡 주변으로 군자산, 칠보산, 악휘봉 등이 있고, 갈론계곡 주변으로 비학산, 남군자산, 옥녀봉 등이 있다. 연풍면의 동남쪽으로 백두대간은 백화산, 이화령, 조령산, 조령관문으로 이어진다. 상기 개요도(8~9)  선유대에서 괴산호를 끼고 돌아 산막이길을 거쳐 군자산 북쪽 을 돌아 칠성에서 연풍으로 쌍천따라 걷는 길이다. 이 길은 충청도 양반길, 산막이길, 오천 자전거길을 함께 공유한다.   괴산 칠성면 구간*쌍곡3거리(6)와 태성3거리(7) 사이는 도로따라 걸어야 되는 위험이 있고, 쌍천(변)따라 걷는 길이 생겼으면 한다.  괴산 연풍면 구간: 송덕리, 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