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레길 5

청주 부모산 둘레길 개요도 - 마을길, 숲길, 산성길

2024.1월 부모산은 청주시에서 주택가에 가장 근접한 산이다. 동쪽으로 석남천이 흐르고, 서쪽으로 제전봉(청주IC 동쪽), 남쪽으로 팔봉산으로 산줄기가 낮고 완만하게 이어진다. 진약고개 남쪽의 산은 과거 군부대(예비군 훈련장)지역이었으나 지금은 다른 곳으로 이전하고 도심의 숲으로 남겨져 있다.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g2-지점)를 필자는 가칭 "부모산 강서봉"이라 부르고 싶다. 그렇게 된다면 부모산은 서쪽으로 제전봉(북/남 제전봉), 남쪽으로 강서봉, 북쪽으로 지동, 동쪽으로 석남천(비하동과 하복대사이 복개천)이 흐르고, 동서로 플라타나스 가로수길(터미널 4거리~청주IC)이 유명한 청주 도심의 쉼터가 되는 산이다. 부모산을 잘 즐기기 위해서는 3개의 둘레길에 대한 개념을 알아두는 것이 필요하다...

수타리봉 둘레길: 청주시 강내면 수타리봉 주변 임도 걷기(순환)

2024.1.13 약9.5km 수타리봉은 팔봉지맥에서 북서쪽으로 낮게 이어지는 산줄기에 있고, 수석천과 오동천을 구분한다. 주변에 교원대와 충청대가 있고, 등산로도 잘 되어 있다. 수타리봉 서쪽 편으로 평평한 대지에 전원주택(예,수타리 마을)들이 많이 있다. 수타리봉(가) 주변에 비교적 높은 봉우리는 청룡사쪽(나)봉, 흥룡사쪽(다)봉이다. 수타리봉에서 (나)와 (다)봉으로 이어지는 등산로는 잘 되어 있는지 모르겠다. 이들 산줄기 주변을 마을길/농로/임도를 연결해서 한바퀴 걸어 보았다. 걷기: 1(B.교원대 운동장) - 2 - 3(A) - 4(충청대, 월곡리) - 농로 - 5(고개) - 6(강서1동) - 청정로 - 6a - 7(소류지,낚시터) - 8(현암동) - 9 - 10(소류지) - 축사 - 11(동막..

국립공원 월출산 둘레길(영암,강진)을 생각해 보면서...

월출산 국립공원내 산줄기는 땅끝기맥에 속하며, 풀치에서 밤재까지 이어진다. 이 산줄기는 영암과 강진군을 구분한다. 1) 영암군의 기찬묏길은 총 5구간이며 대략 40km. - 1~3구간은 카카오맵에 표시되어 있지만 4,5구간의 표시는 없고, 인터넷에서도 정확한 구간 지도를 찾을 수 없어 필자가 대략적으로 표시한 것이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영암군청 홈피에도 나와있지 않는 것 같다 추후 답사후 위의 지도를 다시 그려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2) 강진군의 정약용 유배길은 총 4구간이며 대략 66km. - 주로 강진의 서쪽편에 있고 북남으로 연결된 길이다.(강진군청 홈피 참고) - 경포대, 무위사, 녹차밭, 월각산 동쪽 마을, 성전면, 강진, ... 으로 이어진다. 3) 나머지 연결부는 학산(영암) - 밤재..

산길임도 - 순천 송광 망일봉 북동쪽 임도 (우산리 임도)

2023.2.14 오후, 약 10km 산행(걷기): A(우산리 외장마을) - B - 내장마을 - C - 임도3거리 - C2중간지점회귀 - C - C1 - D - D1(임도끝) - D - 길없는 능선 - D2(기상관측기) - E - 도로이동 - A(원점회귀, 10km) *도로: E-A: 1km *등산로: D-D2: 0.8km (G4.5로 거의 길이 없다) *신설임도 C-C2: 2.2km, C-C1-D-D1: 2.8km - (참고) 윗 개요도에서 C-C2, C-D1 구간의 임도표기는 필자가 임의로 그린 것입니다. 임도상태: Mrs1-3.5, 숲길그늘

구례의 지리산 조망길 5개 (지리산 둘레길 포함)

지리산을 조망하면서 걷거나 산행하는 길 5개 둔기마을에서 본 지리산: 지초봉 너머로 만복대, 노고단, 반야봉, 왕시리봉까지... 1. 등산로: 견두지맥 능선 - 이 산줄기는 "견두지맥"라 불려지고 있고, 지리산 만복대 근처에서 분기하여 밤재 - 견두산, 천마산, 깃대봉, 형제봉, 천왕봉, 갈미봉으로 이어지는 긴 산줄기이다. 보통은 2구간,혹은 3구간으로 나누어서 산행한다. 이 산줄기는 섬진강(요천 포함)과 서시천을 구분하고, 천마산을 중심으로 남원과 곡성의 경계를 이룬다. 2. 산길임도: 천마산 - 깃대봉 - 형제봉 - 천왕봉 - 요강바위산 - 산성산의 산줄기의 5부 능선으로 길게 이어지는 임도이다. 신설임도 구간에서는 지리산쪽 전망이 매우 좋다. 카카오,네이버맵에 표기되지 않는 신설된 임도는 필자가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