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4

(n)년 누적 생존율 계산

의학적 치료 결과를 알아보는 방법중 생존율을 많이 계산한다. 특히 암환자에서는 누적 생존율을 계산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통계 팩키지를 이용하면 되지만, 생존율 관련 변수들을 1,2개 변경한 후 바로 그 결과을 알아보는 경우에 생존율 계산을 위한 코딩이 필요하다. 아래 화면과 같이 그래프로 결과를 보여주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많은 변수들을 포함한 복잡한 코딩이 필요하지만, 기본적으로 중요한 생존율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은 비교적 간단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그것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누적 생존율을 계산하기 위한 기본적인 변수는 2가지 이다. (1) 생존기간(추적기간), (2) 추적결과(생존,사망,소실)이다. 그런데 실제로 추적기간은 연구시작일(최초추적일)과 연구종점일(최후추적일) 등으로 입력되기 떄문에 그때 그때..

문항척도 SW - 40개 문항 이하의 (의학)평가도구들

대부분의 삶의질(QoL) 평가도구들이 이 분류에 속한다. 각 변수들의 조합은 비교적 단순(척도5개, 영역4~5개 등)하지만 역문항이 있고, 가중치와 절단점은 없는 경우가 많다. 질문의 길이가 짧고 질문수가 많지만 1-페이지 설문지(컴화면)에 모두 포함되는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다. 가. 평가도구 리스트 문항수 스케일 영역수 가중치 역문항 절단점 FACT-G 암환자 삶의질 27 5 4 - 있다 - C-QoL 암환자 삶의질(한국) 21 5 5 - 있다 - CF-QoL 암환자 가족 삶의질 35 5 ? - - - WHO-QoL 일반인 삶의질 26 5 5 - 있다 - MMSE 인지기능 평가 30 2 6 - - 있다 Hyperthyroidism 갑상선기능항진증 24 2 - 있다 - 있다 LGS 새는장 증후군 21 5..

문항척도 SW - 평가도구 형태에 따른 분류 (8가지)

문항척도로 되어 있는 프로그램(SW)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대체적으로 평가도구를 분류하여 작성하면 편리한것 같다. 1개의 프로그램으로 만들 수도 있겠지만 SW의 성능과 화면구성, 그리고 데이터 저장의 효율성을 생각하면 아래와 같이 구분해서 개발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대부분의 문항척도 평가도구의 형태는 8개 정도로 구분된다. 분류 문항수 척도수 척도수조합 가중치 역문항 영역수 절단점 화면(page/column) 1. 문항척도20 2~20개 2~5개 혼재 가능 가능 0~9 대부분 1/1 2. 증상척도20 2~20개 2~11개 일정 - 가능 0~9 - 1/1 3. 문항척도40 2~40개 2~5개 일정 - 가능 0~9 - 1/2 4. 문항척도60 2~60개 2~5개 일정 - 가능 0~12 - 3/1 5. 혼..

나의 컴퓨터 활용 이야기

지금 60대 중반인데, 코딩(컴 프로그래밍)을 계속한다고 ? 약 35년전 IBM-PC XT-기종과 MS-DOS 시절, 메모리 256k, 하드 20메가 시절에 컴퓨터를 처음 접하게 되었다. 문서편집기는 아래아 한글 나오기전 보석글, 팔란티어가 있었던 것 같고, 스프레드쉬트는 로터스1-2-3, 프로그래밍 언어는 베이직, 코볼 등이 있었고, PC 통신은 하이텔 등이 기억이 난다. 이후 도스에서 윈도우로 바뀌고 인터넷이 생활속에 파고 들고, 다시 유선에서 무선으로, 스마트폰이 생기면서 컴퓨터 기술의 발전은 따라가기 힘들 정도였다. 직업상의 업무들이 단순 반복적인 일들이 꽤 많았고, 또 데이터 처리 및 통계분석 업무와 논문작성 등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의 도움이 필요하였다. 문서편집기, 스프레드쉬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