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토케미칼 2

양한방 협진을 위한 기본 자료

양한방 협진을 위한 필자의 견해 - 먼저 개인적인 필자의 견해 임을 밝혀 둡니다. 1. 서로간의 정보를 공유하지 않으면 효율적인 협진이 될 수 없다.     어떠한 탕약을 사용하였을 경우 그 탕제에 속해있는 본초/생약들의 이름과 배합 및 제조과정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어떤 부위에 침을 놓았을 경우에 그 부위의 이름을 명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2.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한의학 자료(방약합편, 한국생약, 본초강목 등)나 의학 자료(파이토케미칼, 기능의학 관련 자료 등)가 공유되어야 하고, 이에 대한 소통이 자주 이루어 져야 한다. 3. 치료 과정이나 결과에 대한 평가 방법들에 대한 객관화 작업도 필요하고, 필요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중간 분석(기술적 통계 분석 등) 과정이 필요하다..

암치료 표적(targets)과 천연활성물질(phytochemicals), 오프라벨약(Off-label drugs)

암치료 표적(targets)과 천연활성물질(phytochemicals), 오프라벨약(Off-label drugs) - 천연활성물질(phytochemical) 선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암치료 표적- 암치료 표적들이 (그림4-1-1)에서 보듯이 계속 더 많이 밝혀지고 있고,(그림4-1-1) 암치료 표적    파이토케미칼 일부가 이러한 표적들을 차단하는 기능이 있다.    - 표적치료 사이트 분류      세포분열 억제 - (1세대 항암제)       세포신호(세포내외) 차단, 침투/전이 - (2세대 항암제)       면역체계(활성/회피) – 면역회피(3세대 항암제)       암세포 대사(당,글루타민,지방산) 차단, - 암대사 치료제(4세대 항암제)  - 1개의 치료제가 여러개의 표적에 작용하고,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