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치료 표적(targets)과 천연활성물질(phytochemicals), 오프라벨약(Off-label drugs)
- 천연활성물질(phytochemical) 선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암치료 표적
- 암치료 표적들이 (그림4-1-1)에서 보듯이 계속 더 많이 밝혀지고 있고,
(그림4-1-1) 암치료 표적
파이토케미칼 일부가 이러한 표적들을 차단하는 기능이 있다.
- 표적치료 사이트 분류
세포분열 억제 - (1세대 항암제)
세포신호(세포내외) 차단, 침투/전이 - (2세대 항암제)
면역체계(활성/회피) – 면역회피(3세대 항암제)
암세포 대사(당,글루타민,지방산) 차단, - 암대사 치료제(4세대 항암제)
- 1개의 치료제가 여러개의 표적에 작용하고, 1개의 표적에 여러개의 치료제가 작용하기 때문에
치료제를 선택하는 일은 퍼즐 게임처럼 매우 복잡하다.
- 암치료시 보완적으로 사용되는 천연활성물질 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고,
위의 암치료 타겟에 적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의사들이 활용단다면
통합 암치료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그림4-1-2)
(그림4-1-2) 파이토케미칼: 커큐민의 작용 (예)
파이토케미칼/Off-label drugs 데이터베이스
치료물질 검색창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된후 위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아래의 여러가지 조건들에
유방암 이면서
생화학적 - 항산화, 항염증
암치료 표적 - 면역회피
세포신호 - EGFR
당대사 - Glut-1
침투전이 - VEGF
유전자 발현 - Akt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파이토케미칼/오프라벨약을 찾는데 도움이 된다.
SW(프로그램) 실행
1. SW-공개 사이트: https://best1dr.tistory.com/7496021
먼저 상기 사이트에서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실행하면 되나
상기 주제에 따른 데이터 파일(ca_drug.*)이 비어 있어 상세한 내용을 볼 수 없다
2. 데이터 파일 다운로드
1.번 sw가 설치된 상태에서 아래의 데이터 파일(ca_drug.zip)을 다운 받아
\ca\base 폴더에 복사해서 실행하면 된다.
(단) 자료가 불충분하여 서로 공부해서 공유하였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상기 압축 파일을 풀면
3개의 파일( ca_drug.dbf, ca_drug.cdx, ca_drug.fpt )을 \ca\base 폴더에 복사한 후
상기 1.sw를 실행(yoyang.exe)하면
위와 같이 실행하면 됩니다.
*(주의/참고) 상기 오프라벨약과 파이토케미칼에 대한 적응시 근거/권고 사항에 대한 숙지가 필요하다.
파이토와 오프라벨약은
a. 근거수준에서
Natural standard C(낮은 근거) 혹은
USPSTF C(불명확)
b. 권고등급에서 2b-3.등급에 속할 수 있기에 임상 적용에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화면의 좌측 칼럼 리스트
0.오프라벨약-1 다용
-------------------------------------------------------------------
1.메트포민 metformin
2.Lovastatin 20 mg *
3.LDN
4.ASA 100 mg
5.Etodolac 200 mg
6.Cimetidine
7.독시사이크린 100mg * doxycycline
8.Dipyridamol 25 mg 디피리다몰
9.Hydroxycholoroquine 100mg
11.Propranolol 10 mg
12.메벤다졸 100 mg *
50.파이토케미칼-1 다용/추천
--------------------------------------------------------------------
51.Berberine 500 mg 버버린
52.EGCG 녹차추출물
53.강황(Curcumin) 커큐민
54.Quercetin 퀘르세틴
55.Resveratrol 레스베라스롤
56.Luteolin 루테올린
57.HydroxyCitrate(HCA)
58.URS 우르솔산,홀리바질
59.실리마린: 밀크시슬
100.영양소(기능의학치료)
---------------------------------------------------------------------
101.IVC / IVNT(GSH,ALA,TM)
102.항염증 영양소
103.항산화 영양소
104.해독 영양소- 간,장,MSM
105.항혈당 영양소
106.에너지 B-comp,Mg
107.Vit-D & K2
108.NAC n-acetylcysteine
150.오프라벨약-2
---------------------------------------------------------------------
151.Cholchine 0.6 mg
152.Imipramine 25 mg
153.Amiloride
154.Niclosamide
155.Diclofenac
156.Cetirizine or loratidine
200.파이토케미칼-2
---------------------------------------------------------------------
201.Garlic 마늘
202.sulpohrapan 설포라판
203.Lycopene 라이코펜
204.Ginger 생강
205.beta-carotene 당근
206.i3c 브로콜리 새싹
207.Apigenin 셀러리
208.Cinnamon
209.Dandelion
211.Genistein 제니스테인
212.Bioperine 피페린
50.파이토케미칼-3
---------------------------------------------------------------------
252.Garcinia
253.Citrus & many flavonoid
254.Kaempferal
255.Fisetin 피세틴
256.BSO (Black Seed Oil)
257.Burdock
258.3-BP(3-Brcmopyruvate)
259.MIldronate
261.L-asparginase
262.BPTES
263.Artenmisinin 아르테미시닌
264.보스웰리아: AKBA Boswellia
265.Honokiol 호노키올
266.Chilli Guajillo
267.Valerian Root (발레리안 루트, 쥐오줌풀 뿌리)
268.Pterostilbene 프테로스틸벤
269.토코트리에놀
271.타히니 참깨 페이스트
272.Ashwagandha
273.Pyrcon
274.포도씨 추출물
275.Graviola
276.capcaicin 캡사이신
300.TLC(생활습관치료)
---------------------------------------------------------------------
301.Low-GI diet
302.식이2-케톤,효소,해독
303.항암식이
304.운동
305.수면
306.스트레스조절
350.기타-1
---------------------------------------------------------------------
351.효소치료
352.커피관장
353.저용량 항암치료
400.기타-2
---------------------------------------------------------------------
401.Tamoxifen
402.2-DG
403.DCA
450.기타-3
---------------------------------------------------------------------
451.DHEA
452.Chromium picolinate
453.B3(niacin)
454.황기
455.인삼
456.ALA : alph-lipoic acid
457.멜라토닌 Melatonin
500.참고 이론 요약
---------------------------------------------------------------------
501.대사치료 일반 - 박양규
502.암세포 성장관련 시그널
'의학.건강 > 통합지지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합 암치료 지지 - CAMP (0) | 2021.08.04 |
---|---|
통합 암치료 지지 - 임상 연구자료 관리/분석 프로그램 (0) | 2021.08.04 |
통합 암치료 지지 시스템 - 불편증상 스크리닝 /심층평가 (0) | 2021.08.02 |
통합 암치료 지지 시스템 - 연구목표 (0) | 2021.07.31 |
통합 암치료 지지 시스템 - 생활습관 평가 및 중재 (0) | 2021.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