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 연구목표
1. 통합의료서비스 모델 (6건이상)
1) 국내 암환자 삶의질 평가 연구 및 활용방안 제시 ... 국내에서 개발된 C-QoL 활용
2) 불편증상 평가 및 심층 평가 ... 국내외 연구에서 제시된 Sx/LASA 활용
3) 암환자의 사상체질 평가 ... 다병원 연구 필요
암환자의 식이요법, 운동요법, 심리요법 등에 관여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
4) 의과적 부작용 완화... 기능의학적 접근(IVC, IVNT 등 영양소 정주치료)
- 항암치료 부작용 개선을 위한 IVNT
5) 한의과적 부작용 완화... 한의학적 접근(십전대보탕,육군자탕,반하사심탕,우차신기환,작약감초탕,
6) 심신이완요법의 임상적 적용 및 보급 - MBSR 프로그램
7) 암환자용 식이평가 설문지 개발 - 전문가 지식을 활용한 델파이 연구로 결과물 제시
8) 임상연구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임상연구관리/분석 프로그램(ie Research) 개발
1) 국내 암환자 삶의질 평가 연구 및 활용방안 제시
(1) 병원내 의무기록(EMR/OCS)에 그 기능을 두도록 권고하거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전산 프로그램을 보급하여 널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함.
(2) 다병원 연구가 필요하고, 그 결과에 따라 통합의료 서비스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고찰
- 삶의질 평가 및 통합의료 서비스의 적용 알고리즘 제시
(3) 국내의 암환자용 삶의질 평가도구(C-QoL) 위원회 설립과 버전업 필요성
- (근거) 삶의질은 시대적, 문화적 사회적 가치관에 따라 변동되어야 함이 원칙이다.
(4) 암요양병원, 통합의료센터, 지역암센터 통합지지센터에서 기본적으로 적용할 필요
- 자료 통합시 빅데이터로서 통합암 치료 및 암생존자 관리 정책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 가능
(5) 삶의질 평가 및 상담후 그 결과 및 치료계획을 차트에 기록하면 의료수가로 보상할 필요
(6) 삶의질 평가의 횡적 및 종적 평가 방법의 다양한 활용법 제시
2) 불편증상 평가 및 심층 평가 ... Sx/LASA
Sx-LASA: Symptoms/Linear Analogue Self Assessment
(1) 암환자 다증상 평가
- 입원시, 환자 상태의 변화시, 치료 방법의 변화시, 주기적으로 평가한다.
통증* ,피로* ,무기력(Weakness), 설사, 식욕부진*, 메스꺼움.구토*, 변비, 숨가쁨*, 기침, 수면장애*, 졸림*, 입마름*, 불안장애, 우울장애, 슬픔*, 괴로움*, 저림.무감각*, 현기증.이명, 피부염.가려움, 기억력감소*, 집중력 감소, 소화불량, 화끈거림, 탈모
- 불편 증상: 24 개 -
*MD-Anderson증상평가: 13 개
- 나의 상태 온도계; 7가지 상태를 척도로 표시하여
스트레스, 불안, 우울, 불면, 피로, 통증, 의료진 도움에 대한 척도가
4점이상이면 심층평가 및 중재가 필요하다.
(2) 심층 평가 - 아래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그 결과 및 치료계획을 진료 차트에 기록한다.
스트레스 평가: 국민건강영양조사 스트레스 측정도구 KNHANES-Bref
불안 평가 – 병원 불안 척도 (HAS-K: Hospital Anxiety Scale)
우울 평가 - 우울증 평가 (PHQ-9: Patient Health Questionaire-9)
불면 평가 - 불면증 및 수면의질 평가 (PSQI-K)
피로 평가 - 다면적 피로 평가 (BFI-K)
통증 평가 - 다면적 통증 평가 (BPI-K)
의료진 도움 - 현재의 상태, 이차암 예방, 생활습관 상담 등으로 암치료의 불확실성을 해소
(그림3-2-1) 암환자 다증상 평가
(그림3-2-2) 암환자 선별(Screening) 검사
(부록/그림2-1-18) 디스트레스 평가
(부록/그림2-1-19) 스트레스 평가
(부록/그림2-1-22) 다면적 통증 평가도구 *BPI=Brief Pain Index
(부록/그림2-1-23) 다면적 피로 평가도구 *BFI=Brief Fatigue Index
(부록/그림2-1-20) 불안평가 – 병원 불안 척도 (HAS)
(부록/그림2-1-21) 우울 평가 *PHQ=Patient Health Questionaire-9
(부록/그림2-1-15) 수면의질 평가 *PSQ-K=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그림3-2-3) 기타 암치료에 도움이 되는 평가도구들
3) 암환자의 사상체질 평가
(1) 본원 평가 결과 - 여러 가지 사상체질 평가 방법이 있지만
입원후 한의사의 진료시 KS-15 설문 평가를 함께 활용하였다.
그 결과 사상체질 평가(KS15) 결과는 소음인이 많았다
*KS-15: J Sasang Constitut Med 2015;27(2):211-221
암환자 소음인(多): Korean Oriental Med 2007;28(3):138-14
일반인 체질 분포-태음인(多): J Korean Oriental Med. 2003;24(3):118-129.
(2) 암환자의 식이요법, 운동요법, 심리요법 등에 관여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
(3) KS-15의 특징은 태양인은 매우 드물어서 제외되어 있고
3체질(태음, 소음, 소양)별 가중치 점수로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해석에 도움이 된다.
(예: 태음: 소음: 소양 = 2.0 : 1.5 : 1.7 일 경우 가중치가 비슷하나 태음인 성향이 우세하고
태음: 소음: 소양 = 4.0 : 0.5 : 0.4 일 경우 강한 태음인 성향을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4) 사상체질에 대한 다병원 연구 필요하다
(5) 사상체질 평가도구에 대한 위원회 및 버전업이 필요하다.
(그림3-3-1) 사상체질(KS-15) 설문평가
(그림3-3-2) 사상체질(KS-15) 판정결과
4) 의과적 부작용 완화... 기능의학적 접근(IVC, IVNT 등 영양소 정주치료)
- 항암치료 부작용 개선을 위한 IVNT:
IVC(Intravenous vitamin-C therapy) : low dose, high dose
Modified Myer's cocktail: IVC + Mg + B-complex
Selenase(Se)
글루타치온(GSH), ALA(alpha-Lipoic Acid)
AA / BCAA
- 면역활성 물질 (BRM: Biologic Response Modifier)
Mislto
Thymosin-alpha
다당체
5) 한의과적 부작용 완화
침치료, 뜸치료,
탕제: 부작용 개선 목적 - 십전대보탕, 육군자탕, 반하사심탕, 우차신기환, 작약감초탕,
암주변환경 개선 목적 - 천연 활성물질(Phytochemicals) 및 한약제들 (황기, 인삼, 강황 등)
기타:
6) 심신이완요법의 임상적 적용
(그림3-6-1) 심신이완 – MBSR - 8주 명상 진행 프로그램
(그림3-6-2) CAMP 프로그램 참여자 관리
7) 암환자용 식이평가 설문지 개발 - 전문가 지식을 활용한 델파이 연구로 결과물 제시
(그림3-7-1) 식이평가 – 일반 만성질환자용
(그림3-7-2) 식이평가 – 암환자용
8) 임상연구 인프라 및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임상 연구자료 관리/분석 프로그램(ie Research) 개발
- 병원내 연구 및 다병원 연구를 위해 필수적인 전산프로그램
- 통합의료, 현대의료의 연구방법의 접근 차이
만성질환 연구에서는 전향적 임상 연구가 우선이고, 의미있을경우 RCT 연구로 이이지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이다. 그래서 중간 단계의 임상연구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기관 연구 및 빅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원할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병원내 통합 암환자 지지 시스템과 자료 공유를 위한 전산 시스템이 필요하다.
통합 암환자 지지 시스템 활용시 이점
(1) 진료진간 환자의 객관적/주관적 자료의 공유
(2) 실시간 결과(진단/치료 결과)에 대한 패턴분석 - 전향적 임상연구 가능
-의미있는 결과가 나오면 효과 검증을 위한 RCT 연구 가능
(3) 지지 프로그램(명상(MBSR),요가,숲치료 등) 운영에 큰 도움
(4) 통합 암치료 관련 지식과 프로토콜의 공유
(5) 다양한 임상연구의 효율성 추가 – 실시간 패턴분석 기능 필요
(6) 다병원 임상연구 쉽게 접근 가능
8)-1. 임상 연구자료 관리
(그림3-8-1) 임상 연구자료 관리
여러가지 형태의 검사자료 및 임상결과들을 언제든지 연구를 설계하고 자료를 입력함으로서 관련 진료진들이 언제든지 그 결과를 알아볼 수 있는 지원 시스템 이다. 중간 평가와 패턴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8)-2. 임상 연구자료 설계 - (그림3-8-2) 임상 연구자료 설계
8)-3. 임상 연구자료 분석 기능 활용 및 의사결정에 이용- (그림3-8-3)
2단계 연구목표
개발한 모델에대한 임상현장 적용평가 (3건이상)
(1) 삶의질 평가 - 국내 암환자 삶의질 평가에 대한 대규모 연구 - 다병원 연구
(2) 사상체질 평가 - 국내 암환자 사상체질에 대한 대규오 연구 - 다병원 연구
(3) 심신이완 요법의 임상적 적용 -
- MBSR 과정을중심으로 컨텐츠 및 프로토콜 개발과 시행자 교육(표중화 과정)과 성과 평가 및 보급
질환별 통합의료서비스 CP 개발 (2건이상) (CP에 대한 성과평가포함)
(1) 삶의질 평가 및 결과에 따른 통합의료 서비스 적용 모델 개발
(2) 사상체질 평가 및 결과에 따른 한의과적 통합의료 서비스 적용 모델 개발
관련 제도 개선 보고서
(1) 평가도구(QoL,KS-15) 적용시 지불보상의 제도적 지원 필요
(2) 평가도구의 수정/보완에 대한 기구(위원회)필요(.org)
(3) 심신이완요법에 대한 질관리가 된다면 지불보상의 제도적 지원 필요
암환자 식이영양/운동처방에 대한 지불보상의 제도적 지원 필요
※ 통합의료서비스 프로그램개발
→임상현장 적용연구(근거창출)
→의료기관 적용모델(CP)개발
→모델(CP)에 대한 치료성과(비용 효과성)평가
→신의료기술 등재 또는 급여화
※ 제시된 연구목표이외 추가성과를 연구자가 제안 가능
천연활성물질(phytochemical) 선택을 위한 전산 프로그램 개발
- 암치료 표적들이 (그림4-1-1)에서 보듯이 계속 더 많이 밝혀지고 있고,
파이토케미칼이나 한약제들 일부가 이러한 표적을 차단하는 기능이 있다.
- 표적치료 사이트
세포분열 억제 - (1세대 항암제)
세포신호(세포내외) 차단, 침투/전이 - (2세대 항암제)
면역체계(활성/회피) – 면역회피(3세대 항암제)
암세포 대사(당,글루타민,지방산) 차단, - 암대사 치료제(4세대 항암제)
(그림4-1-1) 암치료 표적
- 1개의 치료제가 여러개의 표적에 작용하고, 1개의 표적에 여러개의 치료제가 작용하기 때문에
치료제를 선택하는 일은 퍼즐 게임처럼 복잡하다.
- 암치료시 보완적으로 사용되는 한약제 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고,
위의 암치료 타겟에 적용한다면 암을 치료하는 의사들이 활용단다면
통합 암치료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그림4-1-2)
(그림4-1-2) 파이토케미칼: 커큐민의 작용 (예)
결론
1. 환자 맞춤형 통합의료 서비스 모델에 대한 지속적인 보완이 필요
2. 의과/한의과 진료진간 소통 및 암병원(대학병원)과의 소통의 계기
3. 통합의료연구에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다병원 연구기반을 확보
4. 통합의료서비스 모델이 국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계기
5. 통합 암 요양병원의 전문화 필요 - 제도적 변화 필요
6. 통합의료 서비스에 포함되는 검사/평가 및 요법 들에 대한 지불보상 제도가 필요.
1. 암치료에 대한 통합의료 서비스를 위해서는 삶의질 평가가 진료시스템에 적용되어야 한다. 이를 잘 활용하면 암환자 진료시 진단과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된다.
2. 암관련 검사나 증상들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시스템이 있어야 하고, 그렇게 자료들이 축적된다면 임상연구에 여러가지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럴려면 신뢰도와 타당도가 인정된 평가도구나 의과/한의과에서 모두 인정할 수 있는 검사방법들이 필요하고, 그것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3. 암주변환경 개선을 위한 치료는 암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치료효과 상승 및 부작용 개선에 부합되는 치료이며, 기능의학적 접근과 한의학적 접근의 유사한 부분을 연구하여 공통된 분모를 찾아 적용할 필요가 있다.
4. 암치료에 생활습관 개선의 중요성은 공통된 인식을 가지고 있지만, 좀더 적극적으로 접근하는 TLC(치료적 생활습관 개선) 방법을 근거기반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5. 만성질환 특히 통합의학적 치료에 있어 임상연구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전향적 임상연구(Prospetive Clinical control study)에서 RCT나 대규모 임상연구의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 임상연구 관련 전산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
6. 저자들은 특정 암에 어떠한 효과적인 치료법을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연구들을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반 – 즉 통합 암지지 시스템 개발 – 을 구축하고 보다 효율적인 암 협진 시스템을 찾고자 연구를 시작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그동안 5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추가 연구 및 확장 연구를 통해서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통합의료 서비스 모델을 추구하고자 합니다.
부록 : 참고 그림 리스트 - 별도 파일 참고.
(부록/그림2-1-4) 체성분 검사 및 BIA-검사
(부록/그림2-1-5) 모발 미네랄 검사
(부록/그림2-1-6) 통증 평가: 통증정도(PD) 및 통증역치(CPT)
(부록/그림2-1-7-1) 심박변이도(HRV: Heart Rate Variability) 검사
(부록/그림2-1-7-2) 인지스트레스 평가
(부록/그림2-1-8) 불편증상 및 척도 평가(Sx/LASA)
(부록/그림2-1-9) 생활패턴 평가
(부록/그림2-1-10) 삶의질 평가 (Ca-QoL: FACT-G)
(부록/그림2-1-10) 사상체질 검사 (KS-15)
(부록/그림2-1-12) 암환자 영양평가
(부록/그림2-1-13) 암환자용 식습관 평가
(부록/그림2-1-14) 신체활동 및 운동평가
(부록/그림2-1-15) 불면증 및 수면의질 평가
(부록/그림2-1-16) 나쁜생활 습관 평가 - 음주습관
(부록/그림2-1-17) 나쁜생활 습관 평가 - 흡연습관
(부록/그림2-1-18) 디스트레스 평가
(부록/그림2-1-19) 스트레스 평가
(부록/그림2-1-20) 불안평가 ? 병원 불안 척도 (HAS)
(부록/그림2-1-21) 우울평가 - 우울증 평가 (PHQ-9)
(부록/그림2-1-22) 통증 평가(다차원 평가) (BPI-K: Brief Pain Index)
(부록/그림2-1-23) 피로 평가(다차원 평가) (BFI-K: Brief Fatigue Index)
(부록/그림2-1-24) 식욕부진 평가 (INVR)
(부록/그림2-1-25) 만성피로 증후군(CFS) 평가
(부록/그림2-1-26) 섬유근통 증후군(FMS) 평가
(부록/그림2-1-27) 장미생물 불균형(Dysbiosis/Leaky gut) 평가
(부록/그림2-1-28) 호르몬 불균형 평가 - 부신피로, 갑상선저하, 폐경증상 등
(부록/그림2-1-29) 뇌기능 저하 평가 -
(부록/그림2-1-30) 히스타민 증후군 평가
(그림-) 기타 암치료에 도움이 되는 평가도구들
'의학.건강 > 통합지지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치료 표적(targets)과 천연활성물질(phytochemicals), 오프라벨약(Off-label drugs) (0) | 2021.08.04 |
---|---|
통합 암치료 지지 시스템 - 불편증상 스크리닝 /심층평가 (0) | 2021.08.02 |
통합 암치료 지지 시스템 - 생활습관 평가 및 중재 (0) | 2021.07.31 |
통합 암치료 지지 시스템 - 삶의질 평가 및 활용 (0) | 2021.07.31 |
통합 암치료 지지 시스템 - 부작용 평가 및 관리 (0) | 2021.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