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건강 148

의학 평가도구들 - 모음집 SW

가. 의학적 평가도구 모음집 나. 의학 평가도구 목차(인덱스) 평가도구들의 분류 - 좌측 칼럼 대분류 리스트 0.의학 평가도구 일반 1.평가 도구 Evaluation tool 2.진료 지침 Guideline 3.관련 사이트, 리뷰논문 4.건강,신체나이 평가* 50.생활습관(LS) 평가도구 51.식이/영양 평가* 52.운동 평가 53.수면 평가 54.스트레스 조절 능력 55.나쁜 습관 - 음주, 흡연* 56.사회적 관계 100.삶의질(QoL) 평가도구 101.건강인 삶의질 평가* 102.암환자 삶의질 평가* 103.기타 환자 삶의질 평가 150.정신건강 평가 151.스트레스 요인 평가 152.스트레스 증상 평가 153.스트레스 인지 평가 154.우울 평가 155.불안 평가 156.기타 정신건강 평가 200..

임상 가이드라인, 근거수준, 권고등급, 근거피라미드

임상 가이드라인 요약집 주로 만성질환에 대해서 공부하고 요약해두는 프로그램이다. 위 요약집의 주요 내용들은 대한의학회 사이트에서 PDF 파일로 다운받을 수 있다. www.kams.or.kr/main.php 가이드라인에 대한 근거수준, 권고등급에 대해서 숙지한 후 읽어보면 좋을 것 같고, 근거 피라미드에 대해서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정보의 홍수속에서 보다 올바른 지식을 습득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가이드라인의 기준 1. 근거수준 A, B, C 2. 권고등급 I, 2a, 2b, 3 3. USPSTF - 음식, 약초, 식이보충제에 대한 근거 및 권고 근거 피라미드 메타분석 > 이중맹검 > 코호트 연구 > 대조군 연구 > 임상적 고찰 > 증례보고 > 전문가 의견 > 동물실험 > 실험실연구 * "전문가..

생활습관 의학 노트

생활습관의학 노트 요약집 주요 내용은 "생활습관의학 핸드북"(이승현 역)을 참고하였고, 세미나 및 Research spotlight를 통해서 얻은 지식을 요약한 것입니다. 생활습관의학에 대한 임상실제는 생활습관교육원을 통해서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습니다. 참고사이트: lifestylemedicinekorea.org/ 생활습관의학 노트 인덱스(목차) 생활습관의학에서의 평가도구들 - 자세한 설명은 추후 하나하나 검증된 평가도구를 통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위 프로그램(SW) 업로드 사이트 연결 - https://best1dr.tistory.com/7495920 생활습관 의학 (좌측 칼럼 대분류 리스트) 0.0.생활습관의학(LM) 일반 1.LM 관련 학회, 사이트 2.LM 관련 서적 3.LM 관련 뉴스 4.LM-..

종양의학 노트

종양의학 노트 요약집 종양의학 노트 인덱서(목차) 종양의학 노트 (좌측 칼럼 대분류 리스트) 0.종양학 개요 1.관련서적 및 관련 사이트 2.종양의학과 임상연구방법 3.암환자 평가도구 4.종양면역 5.종양의학 기술 연구개발 현황 50.암생존자 관리-1 (책) 51.Ⅰ.암생존자의 관리 현황 52.Ⅱ.암생존자의 신체적 문제 53.Ⅲ.암생존자의 정신사회적 문제 54.Ⅳ.암생존자 건강습관 관리 55.Ⅴ.환자군별 문제 및 관리전략 56.Ⅵ.암생존자 관리 체계 100.암생존자 관리-2 101.암과 식이요법 102.암과 영양 103.암과 운동 104.암과 통증 105.치료부작용 관리 106.암환자의 보존적 치료와 삶의질 107.암재활 개론 및 응용 108.정신종양학 109.암환자 프로그램 120.암치료 타겟 -세포분..

완화의학 노트

완화의료.호스피스 노트 요약집 참고책 - 호스피스.완화의료(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학회 발간) - 을 중심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완화의학 노트 목차(인덱스) 완화의학 노트 (좌측 칼럽 대분류 리스트) 0.개념과 서론 1.완환의료-개념과 암환자 돌봄 현황 2.완화의료-다학제팀에서의 의사역할 3.관련 사이트(URL) 4.관련 서적들 5.완화의료 관련 법 (4장) 50.완화의료 서비스 구성과 체계 51.완화의료 팀 구성 (5장) 52.완화의료 서비스의 운영 (7장) 53.서비스 제공 체계 (6장) 54.기관운영 및 관리 (7장) 100.평가와 돌봄 101.완화의료-환자면담과 전인적 평가 102.예후의 측정과 설명 103.포괄적 환자평가 + 평가도구들 104.포괄적 환자평가 (9장) 105.사전 돌봄계획 & AMD..

기능의학 노트

기능의학 노트 요약집 기능의학 노트의 목차(인덱스) 기능의학 노트 (좌측 칼럼의 대분류 리스트) 0.기능의학(Functional M) 총론 1.관련 학회 및 사이트 2.관련 서적과 논문들 3.기능의학과 건강관리,이슈들 50.기능의학의 기초와 이해 51.1.생화학 기초 52.2.미토콘드리아, DNA, RNA 53.노화와 항노화 54.암대사 & 대사치료 55.*면역학 & 장미생물(GM)역할 56.유전체 의학/정밀의학 특강 100.영양소-1(macro,- 탄,단,지,F,P) 101.영양소-탄수화물,포도당 102.영양소-단백질,아미노산 103.영양소-지방,지방산 104.식이섬유(F)와 ProBio(유산균) 105.파이토(P)와 BRM(생리활성물질) 150.영양소-2(micro- Vit & mineral) 151..

통합의학 노트

통합의학 노트 요약집 통합의학 노트의 목차(인덱스) 통합의학 노트 (좌측 칼럼의 대분류 리스트) 0.통합의학과 보완.대체의학(CAM) 1.공부서적 및 관련 사이트 2.통합의학의 임상연구방법 3.삶의질 평가도구 및 연구 4.삶의질 치료 5.통합의학 관련...여러가지 6.PPI(환자-의사 관계)이론 7.환자에게 추천할만한 서적들 50.생활습관의학(LS medicine) 51.생활습관과 건강나이 평가 52.1.식사와 영양 53.2.활동과 운동 54.3.수면관리 55.4.스트레스 조절-mind body 56.* 정신건강 평가 57.5.나쁜 습관 - 흡연,알코올 58.물을 충분히 섭취하자 59.검진관련 자료(국가검진) 100.대체의료체계 101.한의학/중의학/동양의학 102.1.한방,약초,처방 103.2.침과 뜸..

암환자(생존자) 통합지지 진료 시스템

필자가 6년전부터 개발해 사용하고 있는 암환자 통합진료 시스템 화면 입니다. 주요 내용 1. 통합 암환자 지지 시스템의 개요 2. 통합의학 integrative medicine 기능의학 functional medicine 종양의학 oncology 완화의료와 호스피스 palliative medicine 생활습관의학 life style medicine 통증의학 pain medicine 노인의학 geriatric medicine 3. 통합처방 - 약보다는 음식(영양소), 생활습관 개선을 우선적으로 처방하는 프로그램 지식처방전 - 행동인지치료(CBT) 를 위한 기초자료 모음 기능의학 적용 (예) IVNT - 정맥내 영양소 처방 및 오스몰(Osm), 주입속도 조절 계산 프로그램 노트공부 검색 프로그램 -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