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 3

암환자의 운동 2 - 방법과 운동처방

암치료에 도움이 되는 운동 프로그램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목표 - 개인에게 맞는 운동량을 찾는 것이 중요 1) 적절한 객관적 평가 - 체형, 유연성, 근력, 심폐기능 평가 2) 환자에게 필요한 맞춤 운동을 선택해 줌으로서 - 다양한 운동프로그램 및 컨텐츠 개발 3) 사회에 나가서도 꾸준히 지속할 수 있도록 함을 목표로 한다. 미국암학회 권장 1.건강체중을 회복하고 유지하라: BMI(키-몸무게 측정) 2.규칙적인 신체활동을 유지하라 가능하면 빨리 일상활동으로 복귀하라. (1)유산소 운동 - 주당 3-5일 저항성 운동 - 주당 2-3일(운동간격은 최소 48시간) 유연성 운동 - 주당 2~7일 (2)최소 150분/1주(매일30분이상) 중등도의 운동,근력운동 주2회이상 * 유효성과 안정성을 확인하자. 운동강..

암환자 운동 처방 - 청주 미동산 수목원을 중심으로

2023.11월 상기 지도는 그동안 필자가 걸어본 미동산 주변의 모든 길들을 표시한 지도 입니다. 카카오맵을 이용해서 편집하였고, 지도에 없는 곳은 필자가 임으로 그려 넣었음을 참고하세요. 회색 굵은 실선 = 능선표기, 임도 = 노란실선, 연두색 = 도로 가. 미동산 수목원 길 요약 1. 계곡주변 산책길 ... 수목원 정문에서 미동산쪽을 바라볼 때 A) 계곡의 좌측 산책길 - 식물원, 목재체험장 및 메타세콰이어 숲길 등이 좋다. B) 계곡의 우측 중앙 도로 - 정문에서 도로 끝 화장실까지 아스콘 포장도로 C) 계곡의 우측 데크길/이끼길 - 계단이 없이 휠체어가 이동할 수 있는 길 D) 계곡의 우측 산허리 자연 관찰로(등산로) - 2. 산허리 임도길 E1 - 계곡 좌측의 임도 E2 - 계곡 우측의 임도 3..

통합 암치료 지지 - 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평가 및 관리

암환자의 디스트레스 관리 ============================= 1970년대 정신종양학 시작. 암은 과거 불치병이라 인식되었지만 종양의학의 발전으로 치료성적이 향상 디스트레스는 증가 1.장기투병과 불확실성 2.경제적 문제 등. 디스트레스 Distress 1.암환자의 고통이 단순한 일상적인 스트레스로 과소평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정신과적, 심리적, 정서적 고통이라는 말은 어감이 좋지 않다. 암생존시기에 따른 디스트레스 1.진단시기 - 가장 흔하게 부정. 2.초기치료 - 디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치료순응도를 높여야 함. 3.재발.전이 및 진행시기 4.장기 생존시기 - 불안은 지속함. 5.말기 - 여명이 남지 않아도 디스트레스는 관리해야 함. 기적적 희망보다는 의료진이 끝까지 돌봐줄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