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건강 148

(의학)평가도구 - FACT-G 암환자 삶의질(QoL)

암환자용 삶의질 평가도구는 FACT-G, EORTIC-QLQ30, C-QOL 등이 많이 사용된다. 이중 FACT-G에 대한 평가도구를 문항척도-40 SW로 적용해 볼 수 있어 소개하고자 합니다. 가. FACT-G 1. 평가도구 구조에 대한 특성... 1) 문항수 : 27 (No. of Questionaire) 2) 스케일수: 5 (No. of Likert Scales) 3) 영역수 : 4 (No. of Domains) 4) 가중치 : - 없다 5) 역문항 : + 있다 (순문항-우상향,역문항-좌상향) 6) 절단점 : - 없다 (cut-off value) 7) 질문배치: Group (Random or Group) 8) 결과물 : by PRO (PRO=Patient reported outcome) 2. 절단점..

의학 평가도구 - 근감소증(Sarcopenia)

SARC-F 설문지의 구성 * sarcopenia.app Strength, Assistance in walking, Rising from a chair, Climbing stairs, Falls John Morley교수가 처음 제안 국내 Kim 등[22]은 한국의 실정에 맞게 번역하고 완성함. 4점 이상이면 근감소증을 의심 - 진단의 민감도는 남자 16.7%, 여자 32.2%인 반면 특이도는 남자 97.5%, 여자 86.3% - SARC-F 설문평가는 특이도는 높지만 민감도는 상당히 낮은 단점이 있지만, - 4점 미만으로 나올 경우는 근감소증의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말할 수 있다. 가. SARC-F 구조 평가도구 구조에 대한 특성... 1) 문항수 : 5 (No. of Questionaire) 2) 스케..

의학 평가도구 - 노인 우울 평가 (단축형)

SGDS-15-K 노인 단축형 우울증 진단 척도 노인 우울의 특징은 치매 증상과 유사한 점이 있어 그것과 구분이 필요하다(ex.가성 치매). 또한 노인 우울증에서는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다양한 신체적인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심리 증상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는 조금 저항적인 면이 있기 때문에 질문 문항들을 보다 단순하고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필요시 면접자가 잘 소통되지 않는 경우에는 중간에서 점검이 필요하다. 원래 노인 우울증 진단 도구는 30개의 문항에서 시작하였고, 단축형(15개 문항)도 개발되어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이 도구를 필자가 개발한 "문항척도20-SW"를 적용하면 DB(데이터 베이스)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가. SGDS-15K D/D for D..

(의학)평가도구: KS-15 사상체질 평가

한의학에서 설문을 통해서 체질을 평가하는 방법들은 1) SSCQ-P or SSCQ-P-SF 2) QSC-2 3) KS-15 등이 있다. 대부분 용모/체형, 성격, 증상(소증,ANS관련 증상들) 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1)과 2)는 질문항목이 많아서 임상에서 이용하기는 조금 불편한 점이 있지만 3 )KS-15는 체형관련 질문을 없애고 대신 BMI(체질량지수)로 대신하고, 성격(6개 질문)과 소증(8개 질문)을 합하여 15개 인자들을 기초로 한의사가 체질을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KS15는 BMI-를 제외한 14개의 질문당 남/여 구분하여 가중치를 두고 있어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고서는 체질 판정을 내리기 어려운 단점도 있다. KS-15도 "문항척도-20 SW"와 "ks15q.app" 함수를 이용하..

(의학)평가도구: K-DSQ 치매 스크리닝 질문(한국판)

MMSE 단점 1) 연령, 교육 수준, 문화적 차이, 언어의 차이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2) 초기의 인지기능 장애는 찾아내기 힘들다. 3) 주로 기억력과 시간, 공간에 대한 지남력을 주 대상으로 검사하기 때문에 다른 인지 기능의 저하를 찾아내는 데는 민감하지 못하다. 4) 교육 수준이 낮거나 언어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시행하기 힘들다. 5) 뇌혈관 장애에 의한 치매에는 민감하지 못하다. KDSQ(설문지에 의한 치매 선별검사) 장점 1) 피검자의 교육 정도나 나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초기 단계의 치매를 진단하는데 보다 더 민감하다. 3) 피검자를 직접 대면하고 검사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전화로 실행이 가능하며, 이미 사망한 사람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고, 현재가 아닌 과거 시점의 상태에 대..

(의학)평가도구 - 간이 정신상태 검사 K-MMSE, MMSE-K

요양병원/요양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간이 정신상태 검사로 K-MMSE와 MMSE-K가 있는데, 이것도 필자가 개발한 "문항척도-SW"에 적용할 수 있어 그 과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인지기능을 평가/스크리닝하는 도구들중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것들은 MMSE 계열: K-MMSE, MMSE-K, MMSE-DS(보정: 나이/학력/성별) ​GDS vs CDR K-DSQ 등이 있다. 가. MMSE-K, K-MMSE, MMSE-DS, GDS/CDR, K-DSQ K-MMSE는 무학 노인에게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아 MMSE-K가 개발되었고, 또한 성별(남/여), 나이, 학력에 따라절단점(cut-off value) 값을 보정하는 MMSE-DS 가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아래 cognition.app 로 업로드 ..

의학 평가도구 - GAD7/GAD2 불안(Anxiety)평가

1차 진료 영역에서 불안증에 대한 스크리닝을 위해서 개발된 불안(Anxiety) 평가도구인 GAD-7/GAD-2를 필자가 개발한 "문항척도-20 SW"에 적용할 수 있어 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 GAD-2: 불안 Screening GAD2 점수>=3 이면 GAD-7 혹은 DSM-5 평가후 심하면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권고 ​ ​ 가. GAD-7, GAD-2 평가도구 구조에 대한 특성... 1) 문항수 : 7 (2 ~ 20개) (No. of Questionaire) 2) 스케일수: 4 (No. of Likert Scales) 3) 영역수 : 2 (0 ~ 9개) (No. of Domains): 없으나 주요증상(GAD-2),기타증상으로 구분 4) 가중치 : - 없다 (있다면 0.1 ~ 99 Weight) 5..

(의학)평가도구 - MRS 여성 갱년기 평가

가. MRS(Menopause Rating Scale) 쿠퍼만 지수와 함께 "여성 갱년기 증상" 스크리닝 평가에 많이 사용되는 도구이다. 이 평가도구도 문항척도-20 SW를 적용해서 자료를 구축/관리할 수 있다. 이 도구는 문항별 가중치가 없다. 설문 평가도구 구조에 대한 특성... 1) 문항수 : 11 (2 ~ 20개) (No. of Questionaire) 2) 스케일수: 5 (No. of Likert Scales) 3) 영역수 : 3 (0 ~ 9개) (No. of Domains) 4) 가중치 : - 없다 (있다면 0.1 ~ 99 Weight) 5) 역문항 : - 없다 (순문항-우상향,역문항-좌상향) 6) 절단점 : + 있다 (cut-off value) 7) 질문배치: Random (Random or..

의학 평가도구 - PHQ9/PHQ2 우울(Depression)평가

1차 진료 영역에서 우울증에 대한 스크리닝을 위해서 개발된 우울(Depression) 평가도구인 PHQ-9/PHQ-2를 "문항척도-20 SW"에 적용할 수 있어 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우울증 환자 진료의뢰 기준(알고리즘) - 대한의학회 우울증 권고 요약정보 참고 (PDF, Quick Reference) 1. 의심환자: PHQ-2 스크리닝 2. 환자 위험도 평가 - 자타해 위험성 평가, 자살시도의 과거력, 정신병적 증상 및 현실 검증력 ---> ER(응급실), 입원권고 3. 초기 평가 우울증의 심각도 평가(PHQ9 >=20점) 정신건강의학과 공존질환: 물질사용장애, 양극성 장애, 정신병적장애 특수집단: 소아/청소년, 주산기 우울증, 노인성 치매 ---> 정신건강의학과 의뢰 4. 급성기 치료 행동활성화 기..

의학평가 - 직무 스트레스 평가도구 (단축형 24)

필자가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는 문항척도 SW(문항60개,척도5개)를 활용하면 KOSS(직무 스트레스 평가도구)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이 평가도구(KOSS)는 본래 43개 문항(8영역)으로 시작하였고, 27(8영역), 24(7영역)개 문항으로 축소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도구는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관리를 위한 상대적인 평가도구로서 집단에 대한 평가를 위해 사용할 수 있으나, 개인에 대한 절대평가도구로는 사용을 제한 한다고 되어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참고치는 각 영역별로 나타난 점수의 의미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총점 사용은 가능한 한 제한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2) 이 SW(문항60개, 척도5개)로 직무 스트레스 평가도구를 적용하는 과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단축형(24..